<p></p><br /><br />새 집무실 내부 계획도 발표가 됐는데, 역시 미국 대통령과 참모들이 한 공간에 근무하는 백악관 서쪽동 일명 웨스트윙과 흡사한 구좁니다.<br> <br> 먼저 대통령 집무공간은 기존에 알려진 2층이 아니라 현 국방부 청사 3층에 두고, 주요 보좌관들이 대통령과 같은 층에 모입니다.<br> <br> 기자실도 한 건물 1층에 둬서 거리를 좁힙니다.<br> <br> 이어서 최수연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새로운 대통령 집무실은 국방부 청사 3층에 두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습니다. <br><br>1층에는 기자실과 기자회견장을 두고 3층에 대통령 집무실을, 2층과 4층, 5층을 보좌진 사무실로 쓸 가능성이 높습니다. <br> <br>6층부터 10층까지는 민관합동위원회가 입주할 계획입니다.<br> <br>소통 중심의 '열린 집무실'을 실현해 한국판 '웨스트윙'을 만들겠다는 구상입니다. <br><br>백악관의 서관 '웨스트윙'은 미국 대통령 집무실이 있는 공간으로, 핵심 참모들이 같은층에서 함께 일하고, 언론과 소통하는 브리핑룸과도 연결돼 있습니다.<br> <br>윤 당선인도 대통령 집무실 옆 비서실과 보좌진 사무실, 회의실을 함께 둘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[윤석열 / 대통령 당선인] <br>" 민관합동위원회의 사무국을 회의실을 좀 많이 만들어서 자유롭게 정부 요인들과 함께 회의도 하고 의사결정 하는 데 도움을 받고자… " <br> <br>대통령 부부가 머물 관저는 국방부 청사와 직선거리로 3km 정도 떨어져 있는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을 리모델링해 우선 사용합니다. <br> <br>[윤한홍 / 국민의힘 의원(청와대이전TF 팀장)] <br>" 한남동 공관에서 용산까지는 한 3분에서 5분 정도 보고 있는데…" <br> <br>하지만 임시 공관은 출퇴근시 교통 통제를 해야해 집무실과 가까운 곳에 새 관저를 지을 계획입니다. <br> <br>국민 불편이 없도록 걸어서 출퇴근하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외빈 접대 장소는 행사 규모나 성격에 따라 여러 장소를 활용하는 방안이 검토됩니다. <br><br>기존 청와대 영빈관이나 국방부 청사 인근 국립중앙박물관, 전쟁기념관을 이용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수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정기섭 <br>영상편집 이혜진<br /><br /><br />최수연 기자 newsy@donga.com